홍익대학교에서 산업디자인을 전공하고, 독일 영화대학교 바벨스베르그 코날드 볼프에서 프로덕션디자인 디플롬(실기석사)을 받았다. 현재 중앙대학교 예술대학 공연영상창작학부 교수로 있으며, 주요 활동분야는 영화제작, 공간연출, 공간·전시 기획 등으로 다양한 문화예술 프로젝트를 기획하고 있다.
『알레고리와 역사. 권터 그라스의 문학과 사상』(2000)
『통일 독일을 말한다. 3부작』(편저)(2006)
『통일독일의 문화변동』(편저)(2008)
『통일과 문화』(편저)(2003)
『우리에겐 절망할 권리가 없다. 김누리 교수의 한국 사회 탐험기』(2021)
『우리의 불행은 당연하지 않습니다. 대한민국의 불편한 진실을 직시하다』(2020)
주요 논문
「독일통일 3대 신화: 독일통일 30년과 한반도」(2020)
「한국 예외주의- 왜 한국에는 68혁명이 없었는가?」(2019)
「아도르노의 교육담론」(2017)
「아데나와 국가에서 아도르노 국가로-프랑크푸르트학파와 서독의 국가 정체성」(2014)
「독일 68혁명과 대학개혁」(2013)
「영혼을 팔아버린 대학: 대학의 기업화와 학문공동체의 위기 Ⅱ」(2010)
「통일독일의 문화변동」(2008)
「이데올로기와 문화- 문화연구에 있어 이데올로기 개념의 중요성」(2006)
「기형테제, 전환테제, 식민화테제 - 동서독 사회문화 갈등의 설명모델에 대한 비판적 고찰」(2005)
상세보기
HOME > 학과소개 > 교수소개 > 상세보기
김한식
서울대학교를 졸업하고, 프랑스 파리10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중앙대 유럽문화학부 교수로 있으며, 주요 연구분야는 프랑스소설, 문학이론, 문학비평이다.
『해석의 에움길』(2019, 세종우수학술도서 선정)
폴 리쾨르, 『시간과 이야기 1 - 줄거리와 역사 이야기』(1999, 김한식 공역)
폴 리쾨르, 『시간과 이야기 2 - 허구 이야기에서의 형상화』(2000, 김한식 공역)
폴 리쾨르, 『시간과 이야기 3 - 이야기된 시간』(김한식 역, 2004)
아리스토텔레스, 『시학』(김한식 역, 2022)
주요 논문
「허구, 미메시스, 그리고 문학 - 허구의 기능과 양태에 대한 학제적 연구 시론」(2023)
「기호의 체득 혹은 시간에 관한 이야기 - 질 들뢰즈와 폴 리쾨르의 프루스트 읽기」(2021)
「이론 이후, 삶을 위한 문학 이론 - '허구'와 '미메시스' 개념을 중심으로」(2020)
「살아있는 은유 또는 은유의 물러남 - 리쾨르와 데리다의 은유논쟁」(2019)
「이데올로기의 수사학과 유토피아의 시학 - 브레히트의 『안티고네』와 아누이의 『안티고네』」(2017, 김한식, 장수민)
「프랑스 극우의 신화와 이데올로기: 마린 르펜의 정치담론을 중심으로」(2017)
「욕망의 의미론과 이야기의 시학 - 리쾨르의 이야기 해석학과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에 관하여」(2016)
«Innovation sémantique du texte littéraire et expérience esthétique»(2015)
「은유로서의 역사: 프랑스 68의 문학적 형상화에 관한 연구」(2014)
「68, 에로스, 유토피아 : 미셸 우엘벡의 『소립자』를 중심으로」(2013)
「“이야기의 윤리학을 위하여 : 폴 리쾨르의 해석학을 중심으로」(2012)
「텍스트, 욕망, 즐거움 - 소설의 지평구조와 카타르시스」(2008)
해외저널
Han-Sik Kim, «La révolution, l'écriture et l'identité narrative dans Prochain épisode d'Hubert Aquin», Roman 20-50, Presses de l'Université Charles-de-Gaulle-Lille 3, Septentrion, 2014.
상세보기
HOME > 학과소개 > 교수소개 > 상세보기
박명진
중앙대학교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한국현대희곡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중앙대 국어국문과 교수로 있으며, 주요 연구분야는 한국 TV 드라마, 한국 영화, 영화이론, 연극이론이다.
「<지옥>에 나타난 파국적 상상력과 실재의 일상화」(2022)
「인공지능 로봇 소재 드라마의 섹슈얼리티와 대중 서사 전략」(2021)
「TV 드라마 <초인가족>에 나타난 웃음 전략과 희망 서사의 아이러니」(2020)
「AI 로봇 소재 드라마에 나타난 기술적 대상과 객체화의 재현 양상-TV드라마
<보그맘>을 중심으로」(2019)
「TV드라마에 나타난 기억/애도의 (불)가능성과 파국 정서-<마을-아치아라의 비밀>을
중심으로」(2017)
「기계/기술적 대상에 대한 공포와 판타지의 정치적 무의식」(2016)
「타임머신/시간여행 모티브 드라마에 나타난 자기계발 이데올로기-텔레비전 드라마
<미래의 선택>을 중심으로」(2016)
「텔레비전 드라마 <나인>에 나타난 시간 여행의 의미 연구」(2014)
「추리와 역사의 변증법-<별순검> 시즌1을 중심으로」(2012)
「한국 영화의 공간성과 인종 재현 양상」(2011)
「TV 드라마 <하얀 거탑>에 나타난 영상 미학과 각색의 의미 연구」(2009)
「하길종 영화의 섹슈얼리티와 공간정치학」(2009)
「<색/계>에 나타난 젠더와 내셔널리즘 연구」(2008)
「한국 영화의 역사 재현 방식 - 광주 항쟁 소재 영화를 중심으로」(2007)
「역사드라마의 광학적 무의식, 민족서사의 재현 이미지 연구」(2006)
「한일 영화에 나타난 인종과 국가의 이미지 연구」(2005)
「1940년대 전반기 시나리오에 있어서의 파시즘 담론 연구」(2005)
「친일영화에 나타난 낭만성과 파시즘」(2004)
「1970년대 연극 제도와 국가 이데올로기」(2004)
「한국영화와 가족 담론」(2003)
상세보기
HOME > 학과소개 > 교수소개 > 상세보기
오성균
서울대학교를 졸업하고, 독일 보쿰대학교에서 현대연극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중앙대 유럽문화학부 교수로 있으며, 주요 연구분야는 문화이론, 대중문화이론, 신자유주의 사회의 인간과 문화이다.
『브레히트의 연극사전』(2021, 공저)
『청년 브레히트: 혁명을 꿈꾸다』(2019, 공저)
『표현주의 – 경계를 넘어선 예술실천』(2010)
『문학과 문화학 :문화학적 실천을 위한 입장, 이론, 모델』(2008, 공역)
『브레히트의 연극이론』(2005, 공역)
주요 논문
「베르톨트 브레히트의 오페라 산업 비판 - 전통 오페라의 개혁을 위한 토대」(2021)
「역사적 주체로서의 청년 – 브레히트의 영화 <쿨레 밤페, 세상은 누구의 것인가?>를 중심으로」(2017)
「바이마르공화국 시대의 영화미학 – 환상주의를 중심으로」(2013)
「브레히트의 영화미학 - 대항미학으로서의 반환상주의」(2013)
「아도르노의 문화산업론 읽기: 문화산업의 생산전략과 판매전략」(2009)
「브레히트의 대중문화론 – 서푼짜리 소송을 중심으로」(2008)
「표현주의 예술운동과 문명비판」(2001)
「1900년대 초기 독일에서의 '영화논쟁' -논의의 배경과 양상」(2001, 공저)
「연극사에 나타난 ‘매체경쟁’에 관한 고찰 - 문자매체와 시각매체를 중심으로」(2001, 공저)
상세보기
HOME > 학과소개 > 교수소개 > 상세보기
육영수
한양대학교를 졸업하고, 미국 워싱턴(시애틀)대학에서 생시몽주의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중앙대 역사학과 교수로 있으며, 주요 연구분야는 유럽지성사와 역사이론이다.
한양대학교 영어영문학과 학사 & 콜로라도 대학교/Colorado Springs 역사학과 학사
워싱턴대학교(시애틀) 역사학과 석사
워싱턴대학교(시애틀) 역사학과 박사
전공 분야
근현대 유럽지성사, 역사이론 및 방법론, 프랑스 혁명사
강의 과목
서양지성사, 사회사와 문화사, 트랜스내셔널 역사학, 탈식민주의 역사학
주요 경력
문화사학회 회장
한국서양사학회 회장
한국학중앙연구원 해외 파견 네덜란드 레이던 대학교 한국학 강의교수
일본학술진흥원(JSPS) 초빙 국제일본학연구센터(니치분껜) 방문연구원
수상 경력
한국출판학술대상(2010)
주요 저역서
『생시몽ㆍ생시몽주의자 : 근대유럽의 설계자』(2022)
『지식의 세계사 : 베이컨에서 푸코까지, 지식권력은 어떻게 세계를 지배해왔는가』(2019)
『혁명의 배반 저항의 기억 :프랑스혁명의 문화사』(2013)
『책과 독서의 문화사: 활자인간의 탄생과 근대의 재발견』(2010)
『기억은 역사를 어떻게 재현하는가』(2017, 공저)
『포스트모더니즘과 역사학』(2002, 공저), 『굿바이E. H. 카』(2005, 공역)
주요 논문
「19세기 말~20세기 전반 서양선교사들의 조선문화예술 담론만들기」(2022)
「프랑크푸르트 국제도서 박람회의 어제와 내일: 오래된 역사, 만들어진 전통, 새로운 도전」(2020)
「서양선교사가 주도한 근대한국학의 발명과 국제화, 1870년대〜1890년대」(2018)
「베를린장벽 역사기념물 만들기: 관광의 풍경에서 기억의 터전으로」(2016)
「'은자(隱者) 왕국'의 세상 엿보기 혹은 좌절된 접속: 1900년 파리세계박람회에 전시된 '세기말' 조선」(2014)
「트랜스내셔널 지성사 지금 (다시) 쓰기: 중심의 이동 혹은 물구나무서기」(2012)
「씌어 지지 않는 역사 혹은 닦지 않은 거울: 북한의 서양사연구 반세기, 1955년-2005년」(2007)
상세보기
HOME > 학과소개 > 교수소개 > 상세보기
장규식
연세대학교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일제하 기독교 민족운동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중앙대 역사학과 교수로 있으며, 주요 연구분야는 한국 근현대 지성사, 한국 근현대도시사이다.
『모빌리티 시대 기술과 인간의 공진화』(2020, 공저)
『동아시아 지식인의 대화: 영화 이론/비평의 감정 어린 시간』(2018, 공저)
『오키나와로 가는 길』(2014, 공저)
『서비스사회의 구조변동』(2008, 공저)
『경계의 섬, 오키나와: 기억과 정체성』(2008, 공저)
『문화읽기: 삐라에서 사이버문화까지』(2000, 공저)
『시각과 현대성』(2003)
주요 역서
조나단 터너, 『현대 사회학 이론』(2019, 공역)
앤드루 에드거, 피터 세즈윅, 『문화이론사전』(개정판)(2012, 초판 2003, 공역)
장 보드리야르, 『아메리카』(2009)
에드워드 W. 싸이드, 『프로이트와 비유럽인』(2005)
제프리 C. 보커, 수잔 리 스타, 『사물의 분류』(2005)
슬라보예 지젝, 『당신의 징후를 즐겨라!: 할리우드의 정신분석』(1997)
리처드 다이어, 『스타 ― 이미지와 기호』(1995)
주요 논문
「한국재난영화의 탄생과 국가적 트라우마의 반복」(2018)
「2000년대 한국영화 스크린에서의 아시아인 타자들과의 근접조우」(2016)
「금지의 명령에서 향유의 명령으로: 자본주의와 한국사회의 문화변동에 대한 해석적 시론」(2014)
「사진과 천황의 시각화 ― 메이지 천황과 전전・전중기 쇼와 천황의 사진 재현」(2014)
「문화(정치)경제학과 현대 자본주의 비판」(2013)
「미국 무성영화와 백인 국가의 탄생: 「국가의 탄생」과 초기 미국영화 속의 인종 정치」(2006)
「라깡과 영화 이미지 ― ‘이론’의 변호와 ‘봉합’ 개념의 재론을 중심으로」(2005)
「한국의 문화사회학과 대중문화 연구」(2004)
「자본주의 사회의 일상생활과 현대성의 경험」(2001)
「슬라보예 지젝의 라깡-헤겔-맑스주의」(2001)
상세보기
HOME > 학과소개 > 교수소개 > 상세보기
최영진
연세대학교를 졸업하고, 뉴욕주립대학교 스토니브룩에서 영화이론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중앙대 영어영문학과 교수로 있으며, 주요 연구분야는 영화이론, 할리우드 영화사, 미국 대중음악, 영미문학비평 등이다.
연세대학교 영문학과 학사
연세대학교 영문학과 석사
뉴욕주립대학교 스토니브룩 비교문학과 박사
전공 분야
영화연구, 미국 대중문화론, 영미문학비평
강의 과목
영상문화이론, 비교문화론, 문화연구방법론, 문화이론, 문화연구의 이해, 영미문학비평
주요 활동
문학과 영상학회 회장
한국영어영문학회 부회장
한국 아메리카학회 섭외이사
주요 저서
『들뢰즈와 그 적들』(2006, 공저)
주요 역서
케이트 맥코시 클라크, 『숨의 문화, 숨의 이야기』 (2015, 공역)
주요 논문
「<엘비스>에 나타난 미국 록앤롤 음악의 양면성」(2022)
「<노마드랜드>에 나타난 정주하지 않는 삶의 양면성」(2021)
「<줄과 짐>을 통해서 본 근대적 지식인의 초상」(2019)
「영화언어는 진화하는가: 디지털기술 시대 영화 산업과 영화비평의 현재에 대한 단상」(2017)
「전쟁의 안과 밖 다시 보기: 이오지마 전투에 대한 클린트 이스트우드 감독의 연작을 중심으로」(2016)
「The Cinema of the Interstice: Jean-Luc Godard’s Prenom Carmen and the Power of Montage」(2006)
상세보기
HOME > 학과소개 > 교수소개 > 상세보기
오창은
중앙대학교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한국 도시소설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중앙대 교양대학 교수로 있으며. 주요 연구분야는 문화비평, 공간연구, 도시문화, 현대소설과 비평이다.
남북문학예술연구회 회장
‘기억과 전망’ 편집위원장
(사)문화사회연구소 선임연구원
이문구 문학연구회 회장
문체부 문학진흥정책위원회 위원
<문화/과학> 편집위원
수상 경력
한국문화예술위원회 문예진흥기금 신진예술가 지원 개인창작(평론) 수혜(2004)
<경향신문> 신춘문예 문학평론 부문 당선(2002)
중앙대 대학원 중앙우수논문제 인문학상(2002)
주요 저서
『포스트휴먼과 파노라마,(2021, 공저)
『나눔의 그늘에 스며들다』(2017)
『자치와 상상력 – 문학 속 연대의 감수성』(2016, 공저)
『누가 문화자본을 지배하는가?』(2015, 공저)
『모욕당한 자들을 위한 사유』(2011)
『나는 순응주의자가 아닙니다』(2009, 공저)
『문학비평의 이해와 활용』(2009, 공저)
주요 논문
「미학적 우스꽝스러움과 기대 규범의 위반 - 손창섭의 문학세계」(2022)
「민중성 발견으로 향해 나아가는 이야기의 힘 : 이문구의 <관촌수필>」(2022)
「`원자력의 광기`를 넘는 `깊은 민주주의`의 희망으로:녹색생태사상가 김종철 선생 1주기를 맞이하며」(2021)
「난민의 서사를 통한 유럽 보편주의의 윤리적 재구성 - 황석영의 바리데기를 중심으로」(2019)
「국립한국문학관의 콘텐츠 구성과 활용 방안 연구」(2016)
「국립 근대문학관 건립 방안에 관한 연구-국립 근대문학관의 ‘의미구성’과 ‘공간구성’을 중심으로」(2013)
「도시의 불안과 여성하위주체」(2013)
「1970년대 서울 공간 경험과 근대적 주체의 구성」(2013)
「경계인의 정체성 연구 - 재일조선인 김시종의 시세계」(2010)
「4·19 공간 경험과 거리의 모더니티」(2010)
「도시/농촌의 공간 충격과 속물주의 비판 - 이문구의 '산너머 남촌' 연구」(2010)
「1960년대 도시문화와 폐허 이미지 - 이문구의 "장한몽" 연구」(2009)
「아파트 공간에 대한 문화적 저항과 수락」(2005)
「도시 속 개인의 허무의식과 새로운 감수성」(2004)
「1960년대 도시 하위주체의 저항적 성격에 관한 연구 - 이문구의 도시 소설을 중심으로」(2004)
「미적 형식 변화를 통해 본 개화기 근대성의 재인식」(2001)
국제학술회의 논문
「재일 조선인 가족의 장구한 수난의 서사- 이민진의 『파친코』 연구」, 비평문학회 국제학술회의, 일본(2023)
「순환적 세계관에서 도약하는 희망으로 - 네 편의 산문으로 재해석한 윤동주의 시세계」, 대련민족대학교 외국어대 국제학술회의, 중국(2017)
「이주 혹은 이민과 문화변동 - 황석영의 <바리데기> 연구」, 제8회 세계한국학대회(한국학중앙연구원, 펜실베니아대학), 미국(2016)
「20세기 동아시아 국제주의 문학의 `철필` - 김학철론」, 대련민족대학 외국어학원 국제학술회의, 중국(2016)
상세보기
HOME > 학과소개 > 교수소개 > 상세보기
배윤호
홍익대학교에서 산업디자인을 전공하고, 독일 영화대학교 바벨스베르그 코날드 볼프에서 프로덕션디자인 디플롬(실기석사)을 받았다. 현재 중앙대학교 예술대학 공연영상창작학부 교수로 있으며, 주요 활동분야는 영화제작, 공간연출, 공간·전시 기획 등으로 다양한 문화예술 프로젝트를 기획하고 있다.
영화 제작
「키들랏 타이믹의 대나무카메라」 장편 다큐멘터리, 제작·감독·촬영(2016)
「옥포조선소」 장편 다큐멘터리, 제작·감독·촬영(2015)
「서울역」 장편 다큐멘터리, 제작·감독·촬영(2013)
「하늘에 간 박물관」 장편 다큐멘터리, 감독(2010)
「양한마리 양두마리」 장편 극영화, 공동제작·미술감독(2009)
* 부산영화제·모스크바영화제·시카고영화제 초청작, 로카르노아시아수상작
「크리스마스에 눈이 내리면」 장편 극영화, 미술감독(1998) 공연·공간·영상 기획
「장인 세상을 이롭게 하다」 상설 전시, 서울공예박물관(2021)
「두산인문극장」 두산아트센터, (2016-2019)
「문화로 행복한 공간」 공간기획, IDC, 김대중컨벤션센터(2015)
「생각하는 손」 공간기획. 동대문디자인프라자(2015)
「문워크」 무대디자인, 키작은 소나무극장(2012)
「한마음음악제」 한마음 선원, 무대디자인, 세종문화회관 대극장(2011)
「신촌 아트페스티벌」 아트디렉터(2004)
「청주국제공예비엔날레」 공간기획(2003)
「오페라 유관순」 공연연출, 세종문화회관 대극장(2000) 전시, 문화예술 프로젝트
「토탈리콜」 일민미술관 (2014)
「근대성의 새발견 모던 테크놀러지」 문화역서울284 (2014)
「예술로 가로지르기」 한국문화예술위원회 (2017)
「동아시아 냉전의 현대사 지형도 그리기」 경기문화재단 (2014)
「식당극장 서울소년원 프로젝트」 문화체육관광부·법무부 (2014)
「Life of 자페, 장애인과 함께하는 예술가 프로젝트」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3)
「디자인 도시 리서치 : 서사 경관」 디자인올림픽 (2008)
「New Beijing, New China_Connection of personal life story」 CAFA (2005)
「Como 새로운 도시공간 커뮤니케이션 미디어 프로젝트」, SK T타워 (2005)
주요 저서·논문
다큐멘터리 경험과 기억(2018)
Film, Life and a World of Architecture: Ecology in Concrete SPACE(2018) 연결합 도시(2017, 공저)
생각하는 손(2015, 공저)
Study on Placeness and Memory of Modern Space With Focus on <Seoul Station>, <Onyang Folk Museum>, <Okpo Shipyard>(2015)
Alexander calder stabile gravity and play, SPACE(2013)
스토리텔링 내러티브 공간디자인(2008) 베를린, 도시의 기억 Berlin, Memories of a Metropole(2002)
프로덕션 디자인의 이해(2002, 공저)
만들어진 환상, 영화진흥위원회(2001)
상세보기
HOME > 학과소개 > 교수소개 > 상세보기
조희영
서울대학교를 졸업하고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중앙대 첨단영상대학원 교수로 있으며, 주요 연구분야는 콘텐츠 기획, 정책 및 비즈니스이다.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영상학과 박사
한국영화아카데미(KAFA) 프로듀싱 전공 졸업
서울대학교 인문대학원 영어영문학과 석사
서울대학교 영어영문학과 학사
전공 분야
콘텐츠 기획, 정책 및 비즈니스
강의 과목
영상 정책 및 기획
주요 경력
부산아시아영화학교(AFiS) 겸임교수
CJ 인베스트먼트 콘텐츠투자본부 수석심사역
주요 활동
(재)한국영화아카데미(KAFA) 발전기금재단 이사,
영상물등급위원회 연구조사센터 연구심의위원
영화진흥위원회 국제영화제 평가위원
한국콘텐츠진흥원 콘텐츠 산업인력 양성을 위한 국가 역할에 대한 전략수립연구 자문
한국국제교류진흥원 2021 문화동반자사업 자문위원
영화진흥위원회 포스트코로나 영화정책추진단 수석연구원
2019 FLY Film Lab(ASEAN-ROK Script Lab) 피칭 멘토
부산국제단편영화제 예심 심사위원
부산영상위원회 부산지역 영화제작 지원사업 심사위원
부산영상위원회 전문위원
주요 기획
웹툰 ‘고스트(2018)' 공동기획
장편 '제7기사단(Last Knights, 2016)' 공동프로듀서
주요 역서
『엔터테인먼트 경영·경제학: 엔터테인먼트 사이언스 I. II. III』(2021, 공역)
주요 논문
「상호텍스트성에 기반한 스토리세계 확장 전략 연구: ‘히어로즈(Heroes)’ 유니버스에 구현된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 사례를 중심으로」(2023)
「청소년 영화교육 활성화 방안 연구 : 영화진흥위원회 청소년 영화교육 활성화 사업(2018~2022)의 성과 및 한계를 중심으로」(2023)
「<에브리씽 에브리웨어 올앳원스(2022)>에 드러난 내러토그래피 연구: 화면비 변화를 중심으로」(2023)
「뉴미디어 혁신생태계 조성을 위한 망 중립 거버넌스 방안 연구: 5G/6G 통신 이후 뉴미디어·엔터테인먼트 서비스 중심으로」(2023)
「콘텐츠 유형별 NFT 활용 사례 연구: 콘텐츠 IP 확장 가능성을 중심으로」(2023)
「각색의 재맥락화에 있어 시대별 젠더 감수성의 영향 연구_암스트롱의<작은 아씨들(1994)>과 거윅의<작은 아씨들(2019)>을 중심으로」(2022)
「한국영화 제작자·감독·배우 네트워크 분석: 2013-2019 개봉작 중심으로」(2020)
「마블시네마틱유니버스(MCU) ‘인피니티 사가’ 서사 구조 분석: 캡틴 아메리카를 중심으로」(2020)
「<자이언트 펭TV> 스토리텔링 전략과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으로의 가능성」(2020)
「세이브더캣’ 패러다임을 활용한 마블시네마틱유니버스(MCU) 영화 서사 구조 분석: 아이언맨 캐릭터를 중심으로」(2020)
「국내 영상콘텐츠에 적용된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 연구: 웹툰 활용을 중심으로」(2018)